Contents
접기
728x90
자료형 정리표
int | 정수 | int age = 10; |
double | 소수점이 있는 숫자 | double pi = 3.14; |
char | 한 글자 | char grade = 'A'; |
string | 글자들 (문자열) | string name = "장도치"; |
bool | 참/거짓 (True/False) | bool isStudent = true; |
자료형을 세분화해서 사용하는 이유
1. 메모리의 효율적 활용
- 예: 학교 가는데 작은 가방이면 되는데, 왜 큰 여행가방을 써요?
- 숫자 하나 저장할 건데 너무 큰 자료형 쓰면 공간 낭비
2. 정확한 데이터 표현
- 어떤 데이터인지 딱 알 수 있어서 더 정확하게 작업 가능
- 예: 이 숫자는 키예요? 나이예요? 아니면 몸무게예요?
- 자료형이 정해져 있으면 코드가 읽기 쉬워지고 실수도 줄어든다.
3. 타입 안정성
- 예: 나이를 적는데 '열 살'이라고 문자로 쓰면 안 됨!
- int age = "열 살"; 이렇게 쓰면 오류! → 숫자만 받게 int로 막아줌
4. 연산 속도
- 컴퓨터는 자료형마다 다르게 처리
- 예: 정수(int) 연산은 빠르지만, 소수(double) 계산은 더 복잡
<요약>
이유 | 설명 |
💾 메모리 절약 | 필요한 만큼만 공간 사용 |
🚫 오류 방지 | 잘못된 데이터 입력 막아줌 |
👀 가독성 향상 | 어떤 값인지 코드가 더 이해 쉬움 |
⚡ 속도 최적화 | 계산에 필요한 처리시간을 줄여줌 |
정수형 (int)
int는 정수를 저장하는 자료형 (정수란 소수점이 없는 숫자)
예를 들어 나이, 점수 등은 정수로 저장한다.
int age = 10;
int score = 100;
age와 score는 정수를 저장하는 변수이다.
10과 100은 정수니까 int 자료형을 써야한다
실수형 (double)
double은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저장하는 자료형
예를 들어, 원주율(3.14), 키(170.5)처럼 소수점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double pi = 3.14;
double height = 170.5;
실수형 (float)
float은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저장하는 자료형
float은 double보다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지만, 정확도가 조금 낮다.
즉, float은 소수점 숫자를 더 작은 범위로 저장할 때 사용한다.
float pi = 3.14f; // f를 붙여야 float로 인식
float height = 170.5f;
* 왜 f를 붙여야 할까?
C#에서는 기본적으로 소수점 숫자를 double로 인식하기 때문에, float로 저장하려면 f를 명시적으로 붙여줘야 한다.
float와 double의 차이점
자료형메모리 크기저장할 수 있는 범위예시
float | 4 바이트 | 약 -3.4 × 10^38 ~ 3.4 × 10^38 | float pi = 3.14f; |
double | 8 바이트 | 약 -1.7 × 10^308 ~ 1.7 × 10^308 | double pi = 3.14159; |
문자형 (char)
char는 한 글자를 저장할 때 사용
하나의 문자를 저장할 수 있다.
char grade = 'A';
char initial = 'B';
문자열형 (string)
string은 문자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글자(문장)을 저장할 때 사용
예를 들어, 이름, 주소, 문장 등을 저장할 때 쓰인다.
string name = "장도치";
string message = "안녕하세요!";
불린형 (bool)
bool은 참(True) 또는 거짓(False)만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조건을 비교하거나, 맞는지 틀린지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bool isStudent = true; //참
bool isGameOver = false; //거짓
728x90
'C# > 데이터다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Escape Sequence (0) | 2025.04.14 |
---|---|
[C#] Console.ReadLine(), Console.WriteLine(), Console.Read(), Console.Write() (0) | 2025.03.20 |
[C#] 형변환-TryParse (0) | 2025.03.20 |
[C#] 형변환 (0) | 2025.03.19 |
[C#] 변수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