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생활을 조금 해보고 데이터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뭔가 자격증으로 공부할 수 있는 것을 찾아보다가 데이터분석준전문가(ADsP)라는 시험이 있길래 도전!
나는 컴퓨터공학을 전공했고,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전에 취득했었는데 학교선배가 기사로 올리는게 좋다고 해서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도 같이 병행했다.
여유를 두고 취득하고 싶었는데 기사는 2025년 2월 19일 이었고 ADsP는 2025년 2월 22일 시험이어서 그냥 둘다 신청하고 냅다 공부하기로 했다.
낮에는 기사필기책 계속보고 자기전에 잠깐 ADsP책 훑어보는 식으로 공부했는데,
순공시간으로 따지면 이 자격증을 공부한 시간은 한 3일 정도 였다.
📌 1,2과목 각 하루씩 2일, 3과목은 책 훑어보고 하루종일 기출 풀었다.
시험 과목별 필수 점수
총 3과목이고 평균 60점 이상 합격이다.
하지만 한과목이라도 40점 미만은 과락이기 때문에
과락을 피하기 위해서 3과목도 최소 12개는 맞아야한다.
구매한 책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책 추천
책은 유명한 미어캣 책으로 공부했는데 안에 깔끔하고 보기좋게 되어있어서 보기 편했다. 그리고 한 챕터가 끝나면 뒤쪽에 기출이랑 문제들이 있어서 공부가 효율적으로 되는 것 같아 추천한다. 👍🏻
추천이유
이책의 가장 큰 장점은 기출문제 앱을 제공해 준다는 점이다.
나는 44회 시험 신청을 했는데
이 앱에 있는 모의고사 3회차 분량중 1,2회차를 풀고, 43회차부터 거슬러 올라가서 31회차까지 다 풀고 오답 풀이까지 보고 갔다.
앞 2과목 데이터이해, 데이터 분석 기획은 이 책을 사서 책으로 개념을 훑어보고 공부했다.
앞의 두과목은 컴퓨터공학과 전공생 기준 그냥 훑어보고 개념공부 조금 하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었다.
3과목 R언어는 너무 광범위하다고 생각이 들어서 기출을 풀고 모르는 부분이나 어려운 부분을 책으로 찾아보는게 훨씬 효율적이라고 느껴졌다.
시간 없는 사람은 이렇게 하는 것을 추천한다.
공부방법
📌1과목 → 책 보면서 개념 익히고 챕터바로 뒤에있는 기출&모의고사 문제 풀기
📌2과목 → 1과목과 마찬가지로 공부
📌3과목 → 기출 문제 계속 풀면서 분석하고 오답 풀이
자격증 시험은 문제 은행식이라고 생각해서 틀린 문제는 맞출때까지 다시 풀었다.
시험전에 틀린 문제 또 볼려고 답을 알고 있지만 눈으로는 정답 풀고, 앱상에서는 일부러 틀려서 틀린문제칸에 저장되도록 했다.
그리고 시험 치는 날 아침에 틀렸던 문제를 눈으로 다시 체크하면서 빠르게 풀어보았다.
공부방법 검색해보니까 유튜브도 꽤 많이 보길래 봤는데 시험이 촉박하니까 귀에 안들어와서 그냥 기출만 계속 봤다. 시간 있으신 분은 유튜브 봐도 좋을 것 같다.
시험 비용과 시험방법 + 준비물
시험 비용은 5만원이다.
시험은 4지선다형이고 종이 시험지를 받고, 다 푼 후 OMR마킹을 해야 한다.
컴퓨터싸인펜, 샤프, 지우개, 신분증, 수험표를 들고 갔다.
44회 후기
솔직히말하면 약간 과목별 밸런스 조절 실패한 느낌이 들었다. 기출문제 풀었을때는 3과목 골고루 틀렸었는데 이번 시험에서는 1, 2과목이 너무 쉬운느낌이었고 3과목에서 정말 동공흔들리는 문제가 꽤 나왔다. 3과목 풀때 과락만 피하자는 생각으로 풀었고 마킹 전에 확실하게 아는 문제 세어보고 냈다.
시험끝나고 찾아보니까 책에 없던 문제도 나오고 특히 이번 시험이 어렵게 나왔다고 한다. 왜 내가 칠때ㅜ
역시 쉬웠다고 느꼈던 1과목은 다맞았고 2과목은 1문제 틀렸다. 3과목 점수는 비밀ㅎ... 진짜 1,2과목이 열심히 평균을 올려주었다.
아무튼 합격!💗